코딩하는 김딸기
html, css 작업순서 본문
1. 기본 html 세팅
2. 내용을 입력하기 전에 덩어리인 div를 먼저 마크업해 레이아웃을 구성한다
3 레이아웃을 위해 css에서 배경색을 지정해 공간차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한다
컨테이닝 블록: 부모요소가 자식요소에게 제공해주는 콘텐츠 영역
가용공간: 사용가능한 공간
div는 컨테이너에 의해 width auto가 가득차게 표현된다.
-width는 400px,
-border를 기준으로 내부는 padding, 외부는 margin이다->padding이 좌우 20, 콘텐츠가 400일때 내용의 총 width는 440
4. 내용 삽입하기
<p>태그: 단락을 나타냄
결과물은 3개의 컨텐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컨텐츠들은 한 뭉덩이인 <div>태그안에 작성한다
-단락은 <p>태그로 표현한다
5. 내용의 속성 구체적으로 설정하기
-> article 테두리의 두께, 스타일, 테두리색 설정하기
-border는 너비, 스타일, 색을 따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한번에 한줄로 설정할 수도 있다.
-상하좌우 등 border의 일부분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.
-테두리인 border은 덩어리인 article뿐만 아니라 h1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.
-컨테이닝 블럭만큼 가득 채움 이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진을 포함해 부모기준으로 가득채움 따라서 마진이 좌우 각 80일 때 이를 기준으로 부모기준으로 가득 채움
display block
-블럭레벨요소
-디스플레이 블럭레벨의 성질을 가진경우
-이때 h1안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된것일 뿐 h1은 중앙정렬된것이 아니라 이동없이 왼쪽정렬되어 있는 상태이다
디스플레이
-인라인과 블럭레벨 요소로 나뉜다
-블럭레벨 요소의 하위인 텍스트, 이미지 등의 컨텐츠는 인라인레벨이라고 한다
-이미지, 텍스트 등은 인라인요소는 내용물을 뜻하며 블럭레벨의 하위요소이다
->인라인 요소는 블럭레벨의 속성에 영향을 받는다
-사실 text-align은 사실상 inline-align으로 받아들이는게 이해하기 쉽다
1)블럭요소: 컨테이너와 같이 컨텐츠가 들어가는 블럭
-div요소를 가운데 정렬하기=>컨테이너를 중앙정렬
-div내부의 컨텐츠인 글을 중앙정렬하기->컨텐츠를 중앙정렬
-